본문 바로가기

미드&영화의 모든 것

[애나 만들기] 러번(레번) 콕스의 명대사 / 사역동사 let 의 목적격 보어

728x90
반응형

 

얼마 전 정말 재밌게 본

'애나 만들기' 에서

주옥같은 대사들이 많이 나와서

몇개 정리해보려 한다.

 

 

 

영어 표현으로 외우고 있어도

써먹기 좋을듯! :)

 

 

 

 

출처: 넷플릭스 '애나 만들기' 예고편

 

 

<애나 만들기> 극중에서

케이시는 애나의 개인 운동 트레이너로 나온다.

운동하는 사람이라 그런지

건강한 신체, 건강한 마인드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이다.

 

 

우주가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도 중요하게 생각함.

이런 부분은 파울로 코엘료 작가의

<연금술사>를 생각나게 했다.

 

 

 

 

 

출처: 넷플릭스 '애나 만들기' 예고편

 

 

케이시 역을 맡은 러번 콕스(레번 콕스)이다.

 

 

 

 

 

출처: 넷플릭스 '애나 만들기' 예고편

 

 

극중에서 레이첼이

애나한테 거금을 빌려주는데

애나가 이를 갚지 않아

레이첼이 곤란한 상황에 처하게 된다.

 

 

 

레이첼은 케이시를 찾아가

도움을 요청하고

케이시가 애나와 삼자대면 자리를 마련하여

돈을 갚을 것을 타이르지만

도망가버리는 애나.

 

 

 

멘붕과 분노에 빠져서

정신을 못차리는 레이첼에게

케이시가 이렇게 말한다.

 

 

 

When you're angry, you're just a character in someone else's story.

너가 화가 나있을 땐,

너는 단지 다른 누군가의 이야기의 캐릭터에 불과해.

 

 

 

But when you let your anger go, you reclaim your own story.

하지만 너가 너의 화를 흘려보내면,

너는 너 자신의 이야기를 되찾을 수 있어.

 

 

 

Become your own protagonist again.

다시 너 자신의 주인공이 되렴.

 

 

 

 

넘 멋진 말이다!

맞는 말이기도 하고.

그리고 이건 비단 '화' 뿐만 아니라

상대방에 대해 느끼는

다른 부정적인 감정들에 대해서도

해당하는 말이라고 생각한다.

 

 

 

 

영문법 개념을 살펴보자면

일단 가장 중요한 '사역동사 let'이 쓰였다.

 

But when you let your anger go, you reclaim your own story.

 

let 은 일명 '사역동사' 로

'~하게 시키다, ~하게 하다' 로 해석된다.

사역동사는 let 외에도

have와 make가 있다.

 

 

이 사역동사들은 독특한 특징을 갖고 있는데

 

[사역동사 + 목적어  + 목적격보어]

어순에서

 

목적어와 목적격보어의 온 단어들의 관계가

능동관계이면

목적격 보어 자리에 동사원형을 쓴다는 것이다.

 

 

 

But when you let your anger go, you reclaim your own story.

 

이 문장에서 살펴보자면

 

let 이 사역동사,

your anger 이 목적어,

go 가 목적격 보어이다.

 

 

목적어인 your anger 과

목적격 보어인 go 가 능동 관계이므로

목적격 보어 자리에 동사원형인

"go" 를 쓴 것이다.

 

 

 

토익, 공무원 영어, 수능 등

각종 영어 시험에서

굉장히 중요하게 다루는 개념이다.

 

 

위에서 말한 다른 사역동사인

have, make 도 똑같이 적용된다.

 

 

 

조금 어려운 단어들로는

reclaim 되찾다

protagonist 주인공

이 쓰였다.

암기해두면 좋음 :)

 

 

 

 

 

레번 콕스 인스타그램

 

 

 

 

 

케이시의 자존감 뿜뿜하는 대사로

인생 철학도 배우고

영어공부도 하고~

 

 

 

 

<애나 만들기> 줄거리 및 등장인물 정보는

아래 포스팅을 참조해주세요~~ :)

넷플릭스 [애나 만들기] 실화 미드 "매력적인 역대급 사기극 드라마" (tistory.com)

 

 

 

728x90
반응형